본문 바로가기

~ 2011. 05. 09

비즈니스 유전자 : 페터 푹스 저, 박규호 역 | 들녘 | 원서 : Das Business-Gen | 2005




우연히 손에 잡게 된 책이라서 과연 끝까지 읽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겼었는데, 한번 읽기 시작하니 흥미진진한 주제들과 문화인류학적 시각 때문에 끝까지 볼 수 밖에 없게 만들었었다.

일단 이 책은 비즈니스에 몸 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자기계발서는 아니다. 그렇다고 자연과학적으로 유전자의 기능과 존재의의에 대해서 논하는 책도 아니고, 이 책은 문화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인류의 행동과 문화, 그리고 그 결과 서구산업사회의 자본주의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고 있는 책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좋겠다. 그러므로 책 제목에 혹해서 자신의 비즈니스 능력의 함양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감으로 책을 잡는 것은 약간 후회할 만한 일이겠지만, 일반 교양을 쌓아가는 과정으로서의 일독은 권할 만한 책이다.

기본적으로 저자가 취하고 있는 입장은,

인간은 생물학적 토대에서 포유동물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는 없고, 우리가 실제적으로 살고있는 환경과 인간의 진화는 지능을 활용한 문화화의 과정에서만 설명 가능하고, 그 문화화란 생물학적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발현된 인간 지능과 선택의 산물이고, 지금의 서구산업사회의 자본주의 경제체계도 역시 이러한 진화와 선택의 결과일 뿐이지만, 그것이 궁극적인 것은 아니라 특정시기에 특정하게 인간의 능력이 발휘된 문화라고 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서구산업사회의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많지만, 인간은 그에 적응하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데에는 탁월한 능력이 있기 때문에 희망을 품어보자는 입장.

리버럴한 입장이긴 하지만, 생략할 것은 과감히 생략하시고 단언적으로 메시지를 전함으로써 논지가 옆길로 새는 것을 방지해가며, 끈기있고 논리적으로 주제에 대한 논증을 해나아가는 방식이 매우 마음에 든다.

추천할 만한 책인데, 워낙에 명성이 없는 책이라서 (예스24에서도 코멘트, 서평 하나 없다는..) 좀 안타깝다.


** 옮겨 적어둔 재밌는 구절들 **

현대적 인간의 모습은,
올더스 헉슬리가 묘사했듯이 "신체기관의 노예로 살아 가는 지능"의 형태로 나타난다.
18p.

'비즈니스 유전자'를 지닌 사람은
'이상적인 비즈니스'가 물건을 사고 파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30p.

문화학적으로 사랑의 마법은
부족한 생물학적 매력을 문화적 수단을 통해 만 회하려는 실제적인 노력을 의미했다.
78p.

여자들이 자신의 매력을 남자들에게 이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많은 문화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87p.

여자들은 한편으로는 남자 애인들의 비공식적인 일부다처제에 속해 있지만,
자기편에서는 비공식적인 일처다부제를 실행하고 있다.
88p.

현대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제대로 기능하려면,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 이외에 생활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더 많은 물품을 구입하려고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자신의 노동력을 최대한 가동하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이것은 경제적 순환을 위해서는 고무적이지만 인체의 순환을 위해서는 그렇지 않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렇게 벌어들인 수입의 많은 부분을 건강을 위해 지출해야 한다.
111p.

다른 말로 표현하면 경제적 상상력은 사회 조직이나 종교 영역의 변화보다 훨씬 더 실현시키기 쉽다.
문화적 변화는 대개 경제적 변화와 더불어 시작될 때가 많다.
165p.

경제 행위와 관련해서 자주 사용되는
다위니즘의 자연선택 법칙과 강자만이 경쟁에서 살아남는다는 경제전략 사이의 유추는
실제로 사이비 유추에 불과하다.
173p.

"우리는 짐승처럼 살았습니다."
이 말은 가난의 비참함이 인간에게 무얼 뜻하는지를 이해하게 해주는 열쇠다.
190p.

세계은행이 제출한 '빈곤 보고서'의 결정적인 약점은 빈곤과 무욕(無欲)을 혼동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혼동은 잘못된 결론으로 이어진다.
빈곤은 경제적인 이유료 어쩔 수 없이 강요된 포기이자 의식적으로 감지된 부족이지만,
무욕은 삶의 한 형식이며 문화와 종교(윤리)에 근거한 원칙이다.
191p.



** 목차 **

들어가는 글

[경제의 문화 - 문화의 경제]

-나는 누구인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생물학적 특성의 극복
-경제 행위의 원칙
-인간은 놀이하는 존재다
-욕구의 진화

[자원의 진화]

-지구는 누구의 것인가?
-여성 경제와 남성 경제
-자원으로서의 자식
-노동의 문화
-돈과 진화
-노인과 유산, 그리고 죽은 자의 힘

[경제의 발명]

-문화적 진화의 시초
-비즈니스 유전자
-부자와 가난한 자
-포틀래치 신드롬
-신과의 거래
-산업사회의 종교성
-전쟁으로서의 경제

참고문헌

사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