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헤테로토피아
유토피아적인 몸
다른 공간들
인터뷰 공간, 지식, 권력ㅡ폴 래비나우와의 인터뷰
해제 「헤테로토피아」ㅡ베니스, 베를린, 로스앤젤레스 사이, 어떤 개념의 행로(다니엘 드페르)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헤테로토피아
유토피아적인 몸
다른 공간들
인터뷰 공간, 지식, 권력ㅡ폴 래비나우와의 인터뷰
해제 「헤테로토피아」ㅡ베니스, 베를린, 로스앤젤레스 사이, 어떤 개념의 행로(다니엘 드페르)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사유 실험 속에서 탄생한 푸코의 논쟁적이고도 다성적인 에세이!
익히 알고 있듯이, 완벽한 세계 혹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사회에 반하는 가치를 갖는 세계, 그러나 실제로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세계를 우리는 ‘유토피아’라고 부른다. 일종의 현실화된 유토피아라고 이야기하는 ‘헤테로토피아’는 푸코가 유토피아와 대비되는 공간으로 독자적인 개념화를 시도했다가 일찌감치 포기해버린 미완의 개념으로, 현실에 존재하는 장소이면서도 동시에 모든 장소들의 바깥에 있는 곳을 의미한다.
『헤테로토피아』는 헤테로토피아와 관련된 논의를 담은 푸코의 에세이들을 모아 번역한 책이다. 헤테로토피아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야기하는 두 편의 강연 원고 《헤테로토피아》와 《다른 공간에서》를 비롯하여, 유토피아와의 관계 속에서 몸이라는 ‘장소’를 현상학적으로 서술한 《유토피아적인 몸》, 공간과 건축에 대한 푸코의 시각이 잘 드러난 폴 래비나우와의 인터뷰,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다니엘 드페르의 해제 등 흥미로운 글들이 실려 있다.
『헤테로토피아』는 헤테로토피아와 관련된 논의를 담은 푸코의 에세이들을 모아 번역한 책이다. 헤테로토피아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야기하는 두 편의 강연 원고 《헤테로토피아》와 《다른 공간에서》를 비롯하여, 유토피아와의 관계 속에서 몸이라는 ‘장소’를 현상학적으로 서술한 《유토피아적인 몸》, 공간과 건축에 대한 푸코의 시각이 잘 드러난 폴 래비나우와의 인터뷰,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다니엘 드페르의 해제 등 흥미로운 글들이 실려 있다.